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회계를 통해 본 세상

국제회계기준, ‘양날의 칼’이 온다

최종학 | 60호 (2010년 7월 Issue 1)


현재 한국 최대 기업은 과연 삼성전자일까
많은 사람들이 한국 최대 기업으로 삼성전자를 떠올린다. 과연 그럴까? ‘최대’라는 말이 무엇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최대 기업을 정하는 기준은 매출액일 때가 많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천이 자국 500대 기업이나 세계 500대 기업을 선정하는 기준도 매출액이다.
 
만약 자산 규모를 기준으로 한국 최대 기업을 정하면 누가 1위일까. 삼성전자의 자산은 2008년 말 기준 약 100조 원으로 국내 기업 중 8위에 불과하다. 자산 규모로 따지면 국내 최대 기업은 우리은행이다. 1위에서 7위까지 모두 금융회사가 차지하고 있다. 더 놀라운 점은 매출액 기준으로 살펴봐도 우리은행이 1위라는 사실이다. 2008년 우리은행의 매출은 75조 원이었고, 삼성전자는 73조 원이었다. 매출액이나 자산 기준으로 볼 때 국내 최대 기업은 삼성전자가 아니라 우리은행이다.
 
하지만 포천이 발표한 세계 500대 기업 순위에는 삼성전자가 한국 최대 기업(세계 40위)이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할까? 기업을 평가할 때 개별 기업 그 자체로 평가하느냐, 거느리고 있는 자회사들을 모두 합한 연결 기준으로 평가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한국에선 개별 기업을 하나하나 분리해서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보여주는 개별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나 한국을 제외한 다른 많은 국가들은 자회사들을 모두 모회사에 합해 작성한 연결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물론 한국 기업들도 연결 재무제표를 부 재무제표로 작성해 발표하긴 한다. 하지만 실무에서 연결 제무제표를 사용하는 사례는 많지 않다. 은행이 대출을 결정할 때, 신용평가회사가 신용등급을 평가할 때, 과세당국에 지급할 법인세를 계산할 때, 애널리스트들이 기업의 미래 이익을 예측할 때, 언론에서 기업별 순위를 매길 때도 모두 개별 재무제표를 사용한다. 해당 기업 내부에서 투자나 자금조달, 내부통제 등의 목적으로 회계자료를 이용할 때도 마찬가지다.
 
차이 1 연결 재무제표 기준의 기업평가
국제회계기준(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의 도입으로 이런 추세가 완전히 바뀔 전망이다. IFRS는 2011년에는 상장 기업, 2012년부터는 모든 기업에 적용된다. 최소 2개 연도의 자료를 동시에 공시하는 비교식 재무제표를 발표해야 하므로 한국 상장기업은 사실상 올해부터 IFRS를 사용해야 한다. 한국뿐 아니라 미국과 일본을 제외한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들이 자국의 독자적인 회계기준을 폐지하고 IFRS를 채택하고 있다. 세계 각국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쓰는 언어인 회계제도에 혁명적 변화가 온 셈이다.
 

 
그렇다면 기존 회계기준과 IFRS의 차이는 뭘까. 가장 기본적인 차이가 바로 IFRS는 연결 재무제표를 주 재무제표로 채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평가해 보면 국내 1위 기업은 당연히 삼성전자다. 연결 재무제표 하에서 삼성전자는 2008년 121조 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2위인 ㈜LG의 90조 원을 훨씬 앞섰다. 개별 재무제표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73조 원에 불과했지만 국내외 수많은 자회사들의 매출액까지 합산한 연결 재무제표 하에서는 삼성전자의 매출이 월등히 늘어난다. 반면 개별 재무제표 기준 1위였던 우리은행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평가하면 5위로 떨어진다. 더 정확히 설명하면 우리은행이 아니라 우리은행을 자회사로 거느린 우리금융지주가 매출액 87조 원을 기록해 국내 5위다.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평가하면 기업마다 명암이 엇갈린다. 수익성이나 안전성이 오히려 더 좋은 것처럼 표시되는 기업도 생기고, 수익성이나 안전성이 더 나쁜 것처럼 보이는 기업도 생긴다. 모회사와 자회사의 수익성 및 안전성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론 연결 재무제표를 작성하면 기업의 수익성이나 안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 성장성은 약간 증가하는 추세다. 이를 달리 말하면, 대다수 자회사가 모회사에 비해 성장성은 높지만 수익성 및 안전성은 떨어진다는 점을 의미한다.
 
새로운 회계제도의 도입이 기업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은 무엇일까.기업의 순위가 변한다는 건 얼핏 보면 경영 활동과 직접 관련이 없는 피상적인 상황일 수 있다. 기업이 가장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변화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평가하면 재무제표상 수익성이나 안전성이 과거보다 평균적으로 낮아진다는 사실이다. 즉 기업들의 신용등급이 약간 떨어질 가능성이 높고, 당연히 은행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일도 어려워진다는 뜻이다. 마찬가지로 신규로 주식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일 또한 쉽지 않을 전망이다.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실적에 연동하는 주가도 약간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법인세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개별 재무제표 기준으로 과세당국에 내야 한다. 연결납세제도가 2010년부터 실시될 예정이지만, 이 제도는 이름만 연결납세제도일 뿐 실제 상당수의 중요한 내용들은 개별납세제도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연결 기준으로 보면 수익성이 악화되는데 세금은 계속 개별 기준으로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세금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재무제표에 표시되는 세후 기준 수익성이 더 나빠질 것이다. 이런 불합리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일부에서 건의를 했다. 하지만 세수 감소를 염려한 과세당국은 요지부동이다. 과거엔 기업들도 이런 문제점을 거의 알지 못했기에 조직적인 건의나 문제제기를 하지 않았다. 하지만 모든 사안이 연결 기준으로 변화하는 상황에서도 계속 개별기준 세무 체계를 유지하는 일도 자연스럽지 않다.결국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기업들이 앞장서서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투자자나 주주의 관점에서 IFRS 도입을 보면 어떨까.자회사의 실적까지 포함해 어떤 회사의 전체적인 그림을 볼 수 있으므로 기업 정보의 투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연결 재무제표 하에서는 자회사에 모회사의 부실을 숨겨놓는 일이 불가능하다. 장기적으로 자본시장의 코리안 디스카운트를 조금이라도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차이 2
원칙중심 회계 vs 규정중심 회계
많은 사람들이 IFRS는 원칙 중심의 회계기준, 기존 제도는 규정 중심의 회계 기준이라고 한다. 그러나 도대체 원칙 중심과 규정 중심이 무엇을 말하는지 제대로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규정 중심 회계기준이란 현행 한국의 법조문과 같은 형태라는 의미다. 즉 법에서처럼 어떤 상황이면 어떻게 회계처리를 해야 하는지 명확히 규정으로 정리돼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회계처리 담당자는 규정을 참조해서, 규정에 적혀있는 대로만 회계처리를 하면 끝이다.

가입하면 무료

  • 최종학

    최종학[email protected]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

    최종학 교수는 서울대 경영대학 학사와 석사를 거쳐 미국 일리노이주립대에서 회계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콩 과기대 교수를 거쳐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에서 우수강의상과 우수연구상을 다수 수상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숫자로 경영하라』 시리즈 1, 2, 3, 4권과 『재무제표 분석과 기업 가치평가』 『사례와 함께하는 회계원리』, 수필집 『잠시 멈추고 돌아보는 시간이 필요한 순간』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