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주역에서 배우는 경영

極變… 실패가 극에 달하면 성공에 이른다

박영규 | 356호 (2022년 11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극과 극이 서로 통한다는 주역의 원리는 양자역학과 유사하다. 태극의 음이 극에 달하면 양이 되고 양이 극에 달하면 음이 되듯 입자가 곧 파동이고 파동이 곧 입자인 것이다. 성공과 실패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실패가 극에 달하면 성공에 이른다. 에디슨, 일론 머스크 등 혁신가들도 무수한 실패를 마주한 끝에 성공을 거뒀다. 단, 실패를 그저 흘려보내지 말고 이로부터 배우고 성장해야 한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작은 실수와 오류가 쌓인 뒤에 일이 완성된다.

주역은 과학이다. 심지어 주역은 최첨단 과학이론이라 불리는 양자역학의 원리를 담고 있다. 태극기 중앙에 그려진 태극 문양을 떠올려보자. 올챙이처럼 생긴 빨간색과 파란색의 두 물체가 서로를 껴안고 있는 모양이다. 빨간색은 팽창하려는 에너지의 속성을 뜻하는 양(陽)을 상징하고, 파란색은 수축하려는 에너지의 속성을 뜻하는 음(陰)을 상징한다. 각각 2진법 체계의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하면 1과 0으로 쓸 수 있고, 주역에서 사용하는 기호로 표시하면 ―과 --으로 그릴 수 있다.

그런데 정식으로 태극 문양을 그린 그림들을 보면 양과 음의 머리 부분에 하얀색의 작은 점이 하나씩 찍혀 있다. 이 점을 극변(極變)이라 한다. 극변이란 사물의 상태가 극에 달하면 그 성질이 변하는 주역의 원리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주역의 해설서 중 하나인 『계사전』에서는 이 원리를 ‘궁즉변(窮則變) 변즉통(變則變)’이라고 표현한다. 궁극에 이르면 변하고, 변하면 통한다는 뜻이다. 이 원리에 따라 양의 성질이 극에 달하면 음으로 변하고, 음의 성질이 극에 달하면 양으로 변한다. 이처럼 주역에서는 양과 음을 고정된 상태로 보지 않고 끊임없이 변하는 에너지의 위상(位相)으로 규정한다. 태극에서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구분된 경계선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볼 때 양과 음은 하나로 통합돼 존재하는 실체이다. 주역을 ‘일음일양지위도(一陰一陽之爲道)’라 부르는 것은 그 때문이다. 한 번은 음이 됐다가 한 번은 양이 되는 도라는 의미다. 『도덕경』에 나오는 ‘유무상생(有無相生)’이나 『반야심경』에 나오는 ‘색즉시공(色卽是空)’도 그 함의가 같다.

양자역학은 물질의 최소 단위인 원자와 양자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규명하는 이론인데 그 개념과 원리는 주역의 음양이론과 같다. 양자는 입자인 동시에 파동이다. 입자와 파동의 경계는 사실상 없으며 양자라는 하나의 실체가 입자와 파동이라는 두 가지 상태와 에너지를 동시에 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양자의 속성은 이중슬릿 실험을 통해 물리적으로 명확하게 입증됐다.

양자역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닐스 보어는 주역의 음양이론을 접한 후 그것이 양자역학의 원조임을 인정했다. 그래서 덴마크 정부에서 기사 작위를 받을 때 태극 문양 주변에 ‘대립적인 것은 상보적’이라는 문구가 적힌 옷을 입었다. 닐스 보어는 양자역학에서의 입자와 파동은 동일한 현실을 상보적으로 묘사한 것이라고 본다. 음이 곧 양이고 양이 곧 음인 것처럼 입자가 곧 파동이고 파동이 곧 입자라는 것이다.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은 “양자역학이 지금까지 해 놓은 것은 동양철학의 기본 개념인 음양, 태극, 색즉시공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주역이 서양 학문보다 우월한 과학 체계임을 알 수 있는 또 하나의 근거가 있다. 물과 불을 예로 들어보자. 물을 분자구조로 나타내면 H2O이다. 그런데 불을 분자식으로 나타내는 서양 학문은 없다. 가장 진화된 현대 화학으로도 불을 기호 체계로 나타내지는 못한다. 주역은 어떤가? 가능하다. 물은 ☵라는 기호로 나타내고 불은 ☲로 나타낸다. 그뿐만 아니라 화학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물질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지 못한다. 물은 구름이 될 수도 있고 나뭇잎의 영양분이 될 수도 있지만 그러한 상관관계를 화학식으로 표현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주역은 가능하다. 주역의 8괘는 모두 3층 구조로 돼 있는데 아래에 있는 효가 시간적으로 가장 오래된 과거이며, 가운데 효는 현재, 위에 있는 효는 미래를 나타낸다. 즉, 물을 나타내는 기호인 ☵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음, 양, 음으로 그 성질이 변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불도 마찬가지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불(☲)의 속성은 양, 음, 양으로 변한다. 개체로서 물질이 갖는 속성이나 그 변화를 나타내는 방식에서 주역은 대단히 체계적이고 과학적이다.

가입하면 무료

  • 박영규[email protected]

    인문학자

    필자는 서울대 사회교육학과와 동 대학원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중앙대에서 정치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승강기대 총장과 한서대 대우 교수, 중부대 초빙 교수 등을 지냈다. 동서양의 고전을 현대적 감각과 트렌드에 맞게 재해석하는 일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에 『다시, 논어』 『욕심이 차오를 때 노자를 만나다』 『존재의 제자리 찾기; 청춘을 위한 현상학 강의』 『그리스, 인문학의 옴파로스』 『주역으로 조선왕조실록을 읽다』 『실리콘밸리로 간 노자』 등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