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at a Glance 산업화 시대의 주역이었던 386세대는 일 중독 세대였다. 그들에게는 쉬는 것이 불편했고 일하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역으로 부상한 밀레니얼세대에게는 일보다 가정, 개인의 성취가 더 중요하다. 업무가 과중해 개인의 삶을 포기해야 하면 이들은 미련 없이 직장을 떠난다. 어느 때보다 창의성이 중요해진 시대다. 잘 쉬어야 창의성이 발현된다. 오늘날 기업들에 직원들의 워라밸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필수가 됐다.
편집자주 몇 세대를 거치며 꾸준히 읽혀 온 고전에는 강렬한 통찰과 풍성한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아주 오래전 이야기지만 최첨단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우리 삶에 적용하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습니다. 인문학자 박영규 교수가 고전에서 길어 올린 옹골진 가르침을 소개합니다.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에는 런던 근교 공장에서 일하는 나이 어린 소녀들에 대한 르포가 실감 나게 그려져 있다. 열두 살에서 열여섯 살 정도의 어린 소녀들은 우중충한 공장의 방적기 앞에 앉아서 하루 14시간씩 고된 노동에 시달린다. 소녀들은 허리 한 번을 제대로 펴지 못한다. 요즘처럼 초코파이가 간식으로 나오는 일도 없다. 마르크스는 열악한 노동 조건 가운데서도 특히 14시간이라는 과도한 노동시간에 주목했다. 1894년 9월28일 영국 런던 세인트마틴홀에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주도로 열린 제1차 인터내셔널(국제노동자협회)의 가장 주요한 의제는 ‘1일 8시간 노동’이었다. 산업혁명 이후 서구사회는 생산의 주체인 노동자들의 근로시간을 주 40시간으로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경제의 패러다임을 조정해 왔다. 최근 들어 프랑스를 비롯한 몇몇 국가들은 그것도 많다며 주 35시간으로 노동시간을 줄였다. 하지만 자연스럽지 않았던지 주 40시간 노동으로 리턴하고 있다. 한국은 1997년 대통령 선거에서 DJ가 공약으로 내세운 후 주 40시간 노동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됐으며 노사정위원회에서의 격론 끝에 2004년 7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했다. 금융기관과 대기업이 스타트를 끊었고, 이후 중소기업과 공무원, 교사들로 확대돼 2011년 마침내 일주일의 7일 가운데 5일은 일하고 이틀을 쉬는 ‘주 40시간 노동’이 모든 부문으로 확대됐다. 금요일이 주말의 시작이 됐으며 토요일은 반공일이 아니라 온공일이 됐다. 제도 도입 초기에는 갑자기 늘어난 ‘노는 날’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몰라 어색해 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차츰 다양한 여가 문화가 정착되고 있다.
필자는 서울대 사회교육학과와 동 대학원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중앙대에서 정치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승강기대 총장과 한서대 대우 교수, 중부대 초빙 교수 등을 지냈다. 동서양의 고전을 현대적 감각과 트렌드에 맞게 재해석하는 일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에 『다시, 논어』 『욕심이 차오를 때 노자를 만나다』 『존재의 제자리 찾기; 청춘을 위한 현상학 강의』 『그리스, 인문학의 옴파로스』 『주역으로 조선왕조실록을 읽다』 『실리콘밸리로 간 노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