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lose Up

고민을 없애는 최선의 방법은? 헛된 판단을 하지 않는 것

한근태 | 221호 (2017년 3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모든 고민은 바라는 마음에서 유래한다. 바라는 마음은 생존욕, 수면욕, 식욕, 성욕, 나태욕, 감각욕, 인정욕구 등 7가지 욕구로 나뉜다. 때로는 욕구를 채울 수 있어 기쁘고, 때로는 욕구가 이뤄지지 않아 불만이다. 그런 순환을 반복하는 것이 인생이다. 이런 인생에서 ‘깨달은 자’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느끼고 받아들이는 자다. 자기 주장이 옳다고 생각하는 대신 판단이나 견해를 없애고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끊임없이 남과 비교하며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인정욕구 때문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의식한다. 그 욕구에 반응해 남들이 자기를 어떻게 볼지 망상한다. 망상이 넘치면 선입견이 된다.



세상에 고민 없는 사람이 있을까? 갓난아이와 죽은 사람을 제외하곤 없을 것이다. 아니 갓난아이도 말을 못해서 그렇지 나름 고민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고민을 없애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일까? 그 방법 중 하나가 ‘쓸데없이 반응하지 않는 것’이란 주장을 펼치는 책이 있다. 부처의 가르침을 새롭게 해석한 책이다.



8가지 고통이란

인간에게는 8가지 고통이 있다. 생로병사(生老病死)의 네 가지와 구부득고(求不得苦), 애별리고(愛別離苦), 원증회고(怨憎會苦), 오음성고(五陰盛苦)가 그것이다. 갖고 싶은 것을 가질 수 없는 고통,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야 하는 고민, 싫은 사람을 만날 수밖에 없는 고통, 이 모든 것을 포함한 정신적, 육체적 고통 등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고민은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을 없애고 싶으면 우선 그 고민이 무언지 이해해야 한다. 어떤 고민이든 다 원인이 있고 이유가 있기 때문에 이를 알면 해결책도 찾을 수 있다. 우리 삶은 고민에서 벗어날 수 없다. 부족함, 괴로움, 우울함은 존재할 수밖에 없다. 삶이 곧 고민의 바다인 셈이다.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삶은 고민의 연속이란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고민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자각해야 한다. 그런 현실을 인지해야 한다. 그게 가장 중요하다.

다음은 문제의 원인을 봐야 한다. 고민은 어디에서 나올까? 모든 고민은 바라는 마음에서 유래하는데 바라는 마음은 7가지 욕구로 나뉜다. 생존욕, 수면욕, 식욕, 성욕, 나태욕, 감각욕, 인정욕구 등이다. 먼저 바라는 마음이 있고, 그것이 일곱 가지 욕구를 낳고, 그 욕구로 인해 인간은 반응하게 된다. 때로는 욕구를 채울 수 있어 기쁘고, 때로는 욕구가 이뤄지지 않아 불만이다. 그런 순환을 반복하는 것이 인생이다.

고민의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자기 마음을 들여다봐야 한다. 마음 상태를 살피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 말로 확인하는 것, 감각을 의식하는 것, 분류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말로 마음을 확인하는 것을 ‘라벨링’이라 부른다. 마음상태에 이름을 붙여서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자기 상태를 말로 확인하는 작업은 마음을 건강하게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다음은 감각을 의식하는 것이다. 평소 무심하게 움직이던 몸을 제대로 의식하는 것이다. 마음상태를 잘 살펴보고 의식하면 헛된 반응이 멈춘다. 마음이 가라앉으며 깊은 안정과 집중이 가능해진다.

머릿속은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탐욕, 분노, 망상이다. 탐욕은 욕구과잉에 사로잡힌 상태다. 너무 많이 바라고 너무 많이 기대하는 것이다. 초초함이나 인간관계를 둘러싼 불만은 대부분 너무 많이 바라는 마음에서 온다. 너무 많이 바라면 번뇌에 무릎을 꿇고 온갖 고뇌를 떠안게 된다. 분노는 불만과 불쾌를 느끼는 상태이다. 짜증이 나고 화나고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이것이 분노상태라고 이해해야 한다. 분노를 그대로 두면 손해를 보기 때문에 분노는 씻어 보내야 한다. 망상은 상상하거나, 생각하거나, 떠올리는 등 머릿속에서 막연하게 뭔가를 그리는 상태를 말한다. 헛된 망상을 버리기 위해서는 망상을 하고 있다고 말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걷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걸으면 머릿속 복잡한 생각을 청소할 수 있다. 예민하지 않게, 적당히 반응해야 한다. 망상도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신체감각을 의식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고민은 마음속에서 생긴다. 고민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의식을 바깥쪽 신체감각으로 향하게 해야 한다.

붓다는 올바른 이해의 궁극에 이른 자를 뜻한다. 우리말로 깨달은 자를 말한다. 그렇다면 깨달은 자의 정의는 무엇일까?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느끼고 받아들이는 자가 깨달은 자다. 자기 주장이 옳다고 생각하는 대신 판단이나 견해를 없애고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것을 뜻한다. 매사를 객관적으로 있는 그대로 보는 사람에게 반응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니,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반응이란 자기 생각에 따라 일어나는 화학적 현상이다. 자기와 생각이 같으면 기쁘고 다르면 화가 나는 것이 반응이다.



좋고 나쁨을 판단하지 않는 연습

쓸데없는 판단이 고민을 키운다. 헛된 판단을 하지 않는다면 마음은 한결 개운하고 가벼워질 것이다. 판단은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 이래야 한다는 맹신은 결벽증, 완벽주의, 지나치게 노력하는 성격을 만든다. 그 결과 ‘나는 안 된다’는 자기부정의 딱지를 붙이기도 하고 스스로 능력이 없다고 결론을 내리기도 한다. 깨달은 자는 다른 이의 견해, 의견, 지식이나 결정에 구애받지 않는다. 좋고 나쁨을 판단하지 않는다. 판단에 의해 마음을 더럽히지 않고 마음을 흔드는 원인도 만들지 않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자기주장을 확신하고 그 주장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의 인생에 참견한다. 또 참견에 일희일비한다. 왜 그럴까? 판단 자체가 기분을 좋게 만들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는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판단하는 마음속 깊이에는 모든 것을 안다는 기분 좋음과 인정욕구를 채우기 위한 쾌락이 존재한다. 단정짓기, 선입견, 일방적 기대와 요구 같은 판단은 일종의 집착이다. 마음의 병이다. 괴로움은 판단이나 집착에서 나온다. 하지만 현실은 늘 변한다. 나도 변하고 상대도 변한다. 그 사람의 생각이 옳은지 그른지 판단하기 어렵다. 그런 자기 판단을 갖고 이래라 저래라 하면 나도 괴롭고 상대도 괴롭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