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때 신립 장군의 탄금대전투에서의 패배는 전술적인 측면에서 지나치게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신립 장군이 조정으로부터 부여받은 임무, 적군의 상태, 아군의 전투력, 지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신립이 새재가 아닌 충주 탄금대에서 결전을 치른 것은 합당했다고 볼 수도 있다. 전투 당시 날씨가 좋지 않았고, 일본군의 전술에 대한 사전 정보가 부족해 신립의 기병 부대가 제힘을 쓰지 못한 것이 주요한 패인이었다. 오늘날 조직에서도 신립처럼 불합리하게 부정적인 낙인이 찍힌 인재가 없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신립 장군(1546∼1592)은 조선 시대 임진왜란 전까지만 해도 이순신, 권율 장군만큼이나 칭송을 받는 뛰어난 무사였다.11신립은 22세에 무과에 급제했고 1583년 은성부사로 있을 때 여진족 추장 이탕개(尼湯介)의 난을 진압하며 이름을 떨쳤다. 임진왜란 2년 전에 평안도 병마절도사가 됐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삼도 도순변사가 됐다. 이탕개의 난을 제압할 때 기병부대를 잘 운용해 승리를 거뒀는데 아마도 이때의 승전 기록을 참고해 주력 부대를 궁기병으로 편성했을 가능성이 크다.
닫기 하지만 임진왜란 때 새재에 방어진지를 마련하고 전투를 하자는 부장들의 건의를 무시하고 기병을 활용한 정면 돌파를 주장해 충주 벌판의 탄금대에서 일본군과 맞섰다가 참패를 당했다. 패배의 치욕을 못 견딘 그는 결국 남한강에 투신해 순절했다. 중요한 전투에서의 패배는 그에게 씻을 수 없는 역사적 오명을 남겼다. 특히 그가 새재가 아닌 탄금대를 택한 전술은 당대에도 많은 비판을 받았는데 오늘날에는 이를 둘러싼 민간 설화가 TV 프로그램을 통해 확대 재생산될 정도로 폄하되고 있다. 민간 설화의 줄거리는 여러 가지 세부 버전이 있지만 뼈대는 다음과 같다. 신립 장군이 젊은 시절 어느 여인의 원한을 산 적이 있다. 새재에서 일본군과 결전을 치르기 직전 그 여인이 꿈에 나타나 “새재를 버리고 탄금대로 가면 필히 승리한다”고 해 그대로 따랐다가 크게 졌다. 여인의 원혼이 복수를 한 것이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신립 장군은 꿈에 나타난 처녀 귀신의 말을 그대로 믿고 움직인 어리석은 사람처럼 보인다.
이 밖에도 신립 장군이 비난을 받는 이유가 다양한데 첫 번째 근거는 지형에 관한 결정 때문이다. 높고 험한 곳인 새재를 점령해서 방어하면 유리한데 평야 지대를 선택한 것은 잘못이라는 것이다. 보통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고 싸우면 유리하다. 화살이나 총탄도 더 멀리 날아가고, 몸끼리 부딪치는 육박전을 할 때도 상대적으로 힘을 쓰기 수월하다. 두 번째 근거는 종사관 김여물 등 부하 장수들이 새재에서 싸울 것을 강력하게 건의했지만 별다른 설명과 토론이 없이 독단으로 탄금대를 선택했다는 시각이다. 세 번째 근거는 유명한 인물들의 신립에 대한 부정적 견해 표명이다. 다산 정약용이 새재를 넘어가며 신립 장군의 결정을 아쉬워했다고 전해진다. 또 적장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는 새재에 정찰 부대를 보내 조선군의 배치 상황을 파악하려 했는데 조선군이 없다고 보고하자 믿기지 않는다며 또 다른 정찰 부대를 보내 조선군이 없음을 확인한 후에야 병력을 새재로 진출시켰다. 새재를 통과하며 고니시는 “조선에는 병법을 아는 자가 없구나”라며 신립의 결정을 폄하하고 조롱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신립 장군의 선택을 비난하는 근거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논리적인 허점이 있다. 신립의 전술 결정을 현대 군사학의 관점에서 재평가하면서 그 시사점을 분석해보자.
최중경 한미협회장은 33년간 고위 관료와 외교관을 지냈고 동국대 석좌교수, 고려대 석좌교수, 미국 헤리티지재단 방문연구원, 한국공인회계사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한미 협력을 증진하는 민간 단체인 한미협회 회장과 자선단체 평가 업무를 수행하는 NGO인 한국가이드스타 이사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에서 경영학 석사를, 미국 하와이대에서 경제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는 『청개구리 성공신화』 『워싱턴에서는 한국이 보이지 않는다』 『역사가 당신을 강하게 만든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