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Behavioral Economics

너지와 슬러지… 행동 변화시키는 동반자

곽승욱 | 373호 (2023년 07월 Issue 2)
Based on “A Meta-Analytic Cognitive Framework of Nudge and Sludge”(2022) by Y. Luo, A. Li, D. Soman, J. Zhao in A Working Paper(https://doi.org/10.21203/rs.3.rs-2089594/v1)



무엇을, 왜 연구했나?

지난 수십 년간 ‘너지(Nudge)’라는 행동경제학적 개입 방식이 큰 주목을 받았다. 선택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인센티브 구조를 크게 바꾸지 않으면서 사람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너지의 사촌 격 개념으로 ‘슬러지(Sludge)’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의사결정 과정 중 발생하는 마찰(Friction)1 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너지는 마찰을 줄여 행동을 촉진하는 개입이다. 반면 슬러지는 마찰을 증가시켜 행동을 억제하는 개입이다. 너지의 개념에 마이너스(-)를 붙인 꼴인 셈이다.

너지와 슬러지의 중요한 공통점은 행동을 촉진하거나 둔화하는 개입이 이익뿐만 아니라 불이익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직원을 퇴직연금에 자동으로 가입시키면 은퇴 후 풍족한 삶을 위한 저축 행동을 촉진한다. 온라인 구매 시 “확실하신가요?”라는 경고 메시지를 제시하면 충동구매를 억제할 수 있다. 이들은 유익한 너지다. 반면, 구독을 자동이체와 자동 갱신으로 설정하면 불필요한 지출이 늘어나고, 세금 보고 양식을 복잡하게 만들면 세금 신고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이 증가한다. 이는 유해한 슬러지를 유발하는 방식이다.

너지와 슬러지에 관한 대부분의 문헌은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개입의 효과 또는 실패 원인을 이해하는 것보다 다양한 개입을 개발하고 검증해 그 효과를 입증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수많은 너지와 슬러지가 개발돼 적용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입의 근간이 되는 인지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는 희박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와 토론토대 연합 연구진은 이러한 적용과 이해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6가지 정보 처리 과정을 기반으로 행동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개입을 분류하는 새로운 인지적 개입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또한 어떤 개입이 가장 효과적인지 파악하기 위해 각 정보처리 과정을 대상으로 개입의 효과를 조사하는 메타 분석을 실시했다.

사본_-GettyImages-1441263521

가입하면 무료

  • 곽승욱

    곽승욱[email protected]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필자는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와 텍사스공과대에서 정치학 석사와 경영통계학 석사, 테네시대에서 재무관리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유타주립대 재무관리 교수로 11년간 근무한 후 현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행동재무학/경제학, 기업가치평가, 투자, 금융 시장과 규제 등이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