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R5. ESG 성과, 경영자 보상에 연동하는 법

탄소배출 감소 등 ESG 세부 목표
경영자 보상 계약에 연동해야 효과

김진욱 | 322호 (2021년 06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ESG 역량 내재화를 위해선 ESG 성과를 경영자 보상에 연동해 경영자들이 장기적 관점에서 ESG를 실천하도록 유인해야 한다. ESG 성과를 경영자 보상에 반영하고자 하는 기업은 외부 지표와 내부 지표를 적절히 활용하고 ESG 성취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성과 예측이 안정적이거나 ESG 점수가 낮은 기업들은 사전적 연동 계약이, 변동성이 높은 기업들은 사후적 연동 계약이 효과적이다. 경영자들의 ESG 목표를 장기적인 재무 성과와 일치시켜야 하고 경영자들의 ESG 성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사회의 권한이 필요하다.



기업들의 ESG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재무적 성과에만 집중하는 숫자 주도의 기업 문화가 기업에 위험을 초래한다는 인식이 팽배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엔론(Enron)1 및 월드컴(WorldCom)2 의 회계 스캔들과 독일 폴크스바겐(Volkswagenwerk)의 디젤 게이트 3 등이 재무적 성과에 함몰된 기업 문화가 낳은 폐해와 위험의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기업들이 ESG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2015년 HBR(하버드비즈니스리뷰) 4 가 ‘세계 최고의 CEO 100인’ 중 1위로 선정한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의 CEO, 라스 소렌슨(Lars Rebien Sørensen)은 ESG를 ‘장기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이라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와 환경 이슈가 장기적으로 재무적인 이슈가 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기업이 ESG를 제대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이를 경영자 보상 이슈와 연계할 필요성이 있다.

071


ESG 내재화를 위한 ‘ESG 성과 연동-경영자 보상’

ESG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리해야 할 이슈이기에 기업이 ESG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장기 경영 전략에 ESG가 반영돼야 한다.

단순히 ESG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운영 부서들, 즉 IR 부서, CSR 부서 등이 기존의 활동에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정도로는 단기적인 지표 관리에 그칠 뿐 ESG 경영을 내재화할 수 없다. 기업 수준에서 ESG가 반영된 장기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그 전략하에 단계적으로 실제적인 운영의 변화를 도출해야 한다. 따라서 ESG 역량 강화의 첫걸음은 최고경영자의 효용함수에 ESG 성과를 내재화하는 것이다. 경제 주체로서 경영자는 개인의 효용을 극대화하려 하는데 경영자의 경제적 효용은 대부분 그의 보상에 묶여 있다. 경영자 보상의 목적은 경영자의 행동 유인을 기업의 목적과 일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경영자 보상 계약에서 사용되는 성과지표들은 기업의 전략을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 즉, ESG 역량을 강화하려는 장기 경영 전략을 세운 기업은 경영자 보상 계약에 ESG 성과를 연동해야 한다.

가입하면 무료

  • 김진욱

    김진욱[email protected]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

    필자는 건국대와 오하이오주립대에서 경영학과 회계학을 전공하고 코넬대에서 통계학 석사, 오리건대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럿거스(Rutgers)대 경영대 교수, 금융감독원 회계제도실 자문교수 및 기획재정부 공기업 평가위원을 역임했으며 2013년부터 건국대 경영대학에서 회계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건국대 경영전문대학원 부원장, 한국회계학회 부회장, 한국거래소 기술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자본시장, 회계 감사 및 인수합병(M&A)이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