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성과를 이끄는 몰입 전략

몽상가, 현실가, 비평가의 방... ‘3-Room 회의 기법‘으로 몰입 촉진하라

한철환,김한솔 | 170호 (2015년 2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HR

 

조직원들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3가지 약속

1) 몰입의 시간에 대한 약속

하루에 상사가 부하 직원을 부르는 시간은 오전과 오후 단 한 차례씩으로 제한하는 ‘Max 2’ 제도 도입

2) 몰입을 위한 회의에 대한 약속

3-Room 회의 기법도입. , ‘몽상가의 방(모든 것을 상상해 아이디어를 쏟아내고 비판 금물)→현실가의 방(예산, 시장성, 경쟁사 현황 등 아이디어의 실현 가능성 검토)→비평가의 방(사소한 문제도 지적)’ 등 각 단계별로 논의의 목적을 정해 토론

3) 몰입하게 하는 지시/보고에 대한 약속

상사는 ‘Why-When-How’라는 3개의 질문 ‘3Q’를 염두에 두고 지시. 부하 직원은 문제 발생 시 나름의 해결책과 함께 즉각 보고해 상사의 피드백 요청

 

 

 

편집자주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1997년 그의 대표작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을 펴냈습니다. 이후 한국 사회에서도 몰입은 개인과 조직을 막론하고 행복과 성공을 위해 추구해야 하는 키워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최근 조사 결과, 한국 직장인 중 업무에 몰입하는 사람은 10명 중 한두 명꼴이라고 합니다. 자신의 일에 몰입함으로써 최적의 성과를 내놓는 것이야 말로 개인의 행복과 조직의 성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입니다. 모두가 꿈꾸지만 현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몰입. HSG 휴먼솔루션그룹에서 몰입을 통해 성과를 이끌어 내는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추운 겨울, 아이의 성화에 못 이겨 동물원으로 향한다. 사자며 호랑이며 직접 볼 수 있으리란 생각에 잔뜩 들떠 있는 아이. 하지만 그 모습을 보고 있자니 불안하기만 하다. 사람에게 추운 날씨는 동물에게도 똑같이 추울 텐데 동물들의 흔적이나 볼 수 있을까 싶은 걱정 때문이다. 동물들을 못 보고 실망에 빠질 아이를 어떻게 달래줄까를 고민하며 사파리에 도착했다. 그런데 웬걸. 사파리에 들어서자마자 백호 세 마리가 늠름하게 바위 위에 앉아 있는 게 아닌가.

 

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바위 위에서 흰 입김을 내뿜으며 포즈를 취하고 있는 백호를 보니백두산 호랑이라 추위를 안 타나라는 생각이 든다. ‘호랑이라도 봤으니 됐다며 마음을 놓을 찰나, 이번엔 사자가 나타났다. 이 녀석 역시 사람들이 사진 찍기딱 좋은자리에서 포즈를 잡고 있다. 아이는 마냥 신나 소리를 지른다. 대체 동물들에게 어떤 훈련을 시켰길래 이렇게 추운 날에도 꿋꿋하게 버티고 관람객들을 맞아 주는 걸까? 게다가 다가가기도 힘든 맹수들 아닌가.

 

사파리투어가 끝나자마자 가이드에게 달려가 물었다. “대체 무슨 훈련을 어떻게 시킨 겁니까?” ‘뭘 그런 걸 묻냐는 표정의 가이드가 던져준 답은 간단했다. “훈련 안 시켜요. 열선 깔린 바위를 만들어 줬더니 알아서 올라가는 거예요.”

 

누군가의 행동은 억지로 시킨다고 바뀌지 않는다. 스스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게 만들어 주는 게 필요하다. 조직에서의 몰입도 마찬가지다. 지금까지 DBR 연재를 통해 몰입의 비밀을 설명하며 이야기한 것처럼 아무리 자율성을 갖고 있어도, 일의 의미를 명확히 알고 있어도, 전문성을 충분히 키웠더라도, 몰입을 하기 위한 환경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으면 그 효과는 반 토막 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몰입을 이끄는 마지막 비밀, ‘환경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한다. 조직에서 서로의 몰입을 돕기 위한 약속, 제도는 무엇이 있을까? 업무 중 가장 많이 벌어지는 대표적 상황들 속에서 몰입을 높이기 위한 약속을 찾아본다.

 

첫 번째 환경, 몰입의 시간에 대한 약속

 

직장인들에게 물었다. “업무 시간 중에 본래의 업무 외에 잡다한 일을 하고 있습니까?” 무려 86.8%그렇다고 답했다. 당연한 것 아니냐고? 함께 일하는 조직에서 본인의 업무만 할 수 없는 것 아니냐고?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잡무에 허비하는 시간을 듣고 나면당연하다고 말하긴 쉽지 않다. 자그마치평균 1시간17이라는 수치가 나왔다. 일주일이 아니다. 하루 8시간의 근무 시간, 아니 야근까지 따져 10시간이라 하더라도 10% 이상을잡일’하는 데 쓰고 있다는 뜻이다. 잡일의 내용을 들어보면 좀 더 심각해진다. ‘복사물이나 인쇄물 정리 및 전달’ ‘상사의 개인적 부탁이 영광스런 1, 2위를 차지했다. 거부하기 힘든윗분의 요청 때문에 정작 집중해야 할 본인의 업무에 소홀해 질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수시로 불러대는 상사들. 그런데 막상 가보면 별로 급한 것도 아니다. 혹은지금 당장 필요한 건 아닌데 잊어 버릴까봐라며 구구절절 설명한다. 근데 이미 다 알고 있는 얘기들이다. 이렇게 일에 대해 고민하다 아이디어 좀 나올라 치면이봐, 김 과장” “최 대리 있나라는 호출 때문에 부서원들은 일을 못한다. 그런데도 상사들은 말한다. “몰입도가 문제야.” 이런 환경에서 업무에 몰입하라고 말하는 건 너무 가혹하지 않은가?

 

가입하면 무료

  • 한철환

    - HSG 휴먼솔루션그룹 성과관리연구소장 /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김한솔[email protected]

    HSG 조직갈등 연구소 소장

    비즈니스 교육 전문 기관 HSG 휴먼솔루션그룹에서 강의와 컨설팅 등을 통해 많은 기업의 소통 전략 수립을 돕고 있다. 리더의 자기 인식을 위한 진단 프로그램 '성과 백신'을 개발,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 「이기적 리더」 「1% 디테일: 성공적인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비결」 「설득하지 말고 납득하게 하라」(공저) 등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